- Published on
Algorithm
- Published on
해쉬테이블은 효율적인 탐색을 위한 자료구조로서, key를 value에 대응시킨다.- Published on
그래프는 정점과 간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간선을 통해서 모든 정점을 방문하는 것을 그래프를 탐색한다고 한다.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중 하나인 깊이 우선 탐색(DFS)에 대하여 알아본다.- Published on
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중 하나인 너비 우선 탐색(BFS)에 대하여 알아본다.- Published on
퀵 정렬은 기준값(pivot)을 사용하여 정렬을 한다. 어떤 값을 기준값으로 선정하는지에 따라서 퀵정렬 성능이 달라진다.- Published on
합병 정렬은 전체 원소를 하나의 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한 원소를 다시 병합하는 정렬 방식이다.- Published on
정순회(Inorder traversal)를 시행하며 마지막으로 검사했던 노드를 저장해두고 다음에 그 다음 노드와 비교한다.- Published on
버블정렬과 선택정렬은 구현이 간단하지만 비효율적이다. 둘 다 시간복잡도는 O(n^2)이다.- Published on
이진탐색은 정렬된 리스트에만 적용가능하다. 시간복잡도는 O(logn) 이다.- Published on
이진탐색트리(Binary Search Tree)는 다음과 같은 속성이 있는 이진트리 자료구조이다. 이진탐색트리를 구현하고 삽입, 삭제, 중위순회(Inorder traversal)를 테스트하였다.- Published on
- Published on
모든 작은 문제들은 한번만 푼다. 따라서 정답을 구한 작은 문제를 어딘가에 메모해둔다.